에어드롭은 전통적으로 Web3 프로젝트의 꽃이자 UA의 가장 강력한 수단이며, 이에 맞춰 에어드롭 전략 또한 많이 발전했습니다.
최근 @portalcoin이 SNS 상에서 매우 큰 버즈를 만들어 내고 있는데, 그동안 에어드롭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고, 과연 Portal은 다음 액션을 어떻게 가져갈지 예측해보고자 합니다.
초창기 에어드롭은 체인이 하드포크 되는 과정에서(ex. 비트코인 캐시, 이더리움 클래식 등) 기존 보유자들에게 새로운 체인의 코인을 지급하는 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준은 코인을 보유하고 있냐 없냐 하나 였으며, 하드포크 이전 체인이 존재하는한 두개의 자산이 공존해, 배당 처럼 스냅샷 날짜가 다가올수록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때도 다양한 코인들은 무료 에어드롭을 외치며 UA를 진행하였고, 조금 영리한 플레이어들은 보유 잔고 같은 기준을 가지고 지급을 하는 식으로 조금씩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하려하는 형태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해당 방식의 단점은 명확합니다. 너무 쉽게 보상을 받을 수 있다모니, 해당 제품에 대한 인지가 없는 유저가 많아져 리탠션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 덤핑
Uniswap은 에어드롭 전략의 혁신을 일으켰는데, 바로 Uniswap 사용자의 거래내역에 따라 에어드롭을 지급하는 소급적용 방식을 차용했다는 점입니다.
즉 에어드롭을 지급하는 기준을 잡을 수 있게 된 순간부터 다양한 전략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아래와 같은 다양한 On-off chain 데이터를 기준으로 에어드롭 전략 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품 거래량 (ex. dydx, osmosis)
경쟁자 제품 사용 내역ex. Looks Rare, Blur Phase 1)
github contribution, social engagement 등…
해당 방식은 에어드롭이 진행되기 전까지 지속적인 제품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이때부터 에어드롭 파밍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습니다. (그래서 Wen Layer Zero)
Uniswap은 모든 토큰을 한번에 분배하는 때문에 초창기 에어드롭과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나, Optimism, Blur와 같은 프로젝트들이 단계별로 토큰을 분배하는 Phased airdrop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Retroactive + Phased airdrop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에어드롭 디자인입니다.
에어드롭이 발전하는 모습을 살펴보았을때 에어드롭 디자인의 핵심은 기준과 제품과의 연관성입니다.
그리고 기준은 아래와 같이 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요,
“유저가 어떤 행위를 했을때 어떤 보상을 준다.”
좀더 세분화하자면
유저
타겟하는 유저 세그먼트를 파악하고 해당 유저를 유입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
Blur의 경우 제품을 활발하게 사용했던 유저에게 Mulitplier를 적용하거나 기존 거래량 기준으로 보상을 주고, $portal의 경우 트위터 팔로워, 트윗수에 기반해 포인트 Multiplier를 적용함으로써 타겟 유저 전환을 이끌어냄
행위
프로젝트의 단계에 따라 행위는 달라질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Phased airdrop은 프로젝트 개발 단계에 따라 다양한 가설과 검증을 진행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이때 마케팅 퍼널은 페이즈별로 어떤 행위를 유도할 것 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함.
보상
프로젝트 입장에서 위 과정을 반복하며 결과적으로 제품에 대한 인지를 향상시키고, 단계별로 전환하여, LTC > CAC 구조를 만들어내는것이 이상적인 에어드롭 디자인이자, 캠패인 성패를 가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먼저 Portal은 스팀과 같은 커뮤니티 게이밍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플랫폼의 핵심은 유저수기 때문에 Social buzz는 타 프로젝트와 비교해 Portal 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유저와 게임 둘다 잡아야하는 양면 시장에서 Portal은 유저수를 핵심 강점으로 더 많은 게임을 온보딩 시키기 위해 현재와 같은 Awareness에 집중된 에어드롭 캠패인을 준비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트위터 영향력에 따른 multiple 적용은 영향력이 높은 콘탠츠 크리에이터, 인플루언서들의 유입 확률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Portal에 Align시키기 위한 훅으로 넣었을 것 입니다.
DeFiKingdoms, MagicCraftGame, SpaceNationOL, OxyaOrigin 등과 파트너쉽을 발표한 현 상황에서 넥스트 스텝은 미션 형태의 게임 플레이, 소셜 인증이 아닐까 생각하며 글을 마칩니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