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글) The Web 3.0 Landscape
June 3rd, 2022

a16z에서 발간한 Web 3.0 Landscape라는 보고서를 번역했습니다. Fed를 포함해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풀린 유동성을 회수하고, 시총이 50조원에 달하면서 암호화폐 순위 10위권 안에 들었던 LUNA가 멸망하고, Crypto 씬에 다시 겨울이 오고있는 시점에서 a16z는 4번째 Crypto Fund를 조성했습니다. 그만큼 확신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이해를 돕기 위해 부가적인 설명을 더했고, 글의 맥락상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삭제하였습니다. 미숙한 번역으로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보고서의 Audience가 정부 관계자라는 점을 고려해주세요. 블록체인 생태계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과 Public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사례 위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Web3 Applications

1980년대부터 시작해 2000년대 초까지 첫 번째 인터넷 시대는 TCP, IP, SMTP, HTTP와 같은 개방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인터넷 생태계를 안정적이고 공정한 그라운드로 만들었고, 대표적인 웹의 특성들이 이 시기에 정립되었습니다.

200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두 번째 인터넷의 시대에는 소수의 기업들이 개방형 프로토콜 위에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프로토콜을 구축했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Google, Apple, Facebook, Amazon과 같이 영리를 추구하는 기술 기업들이 개방형 프로토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만들어 중앙집중화를 이뤘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Web 2.0이라고 부르죠.

대표적으로,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하여 Google은 Gmail, MS는 Outlook을 만들었습니다. Google은 Gmail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지만, 대신 Gmail은 유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광고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Google의 핵심 비즈니스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죠. 이것이 Web 2.0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돈을 지불하지 않고 뭔가를 사용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고객이 아니라 제품이 되는 것입니다.

Web 3.0의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는 지금의 망가진 디지털 생태계에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중앙화된 플랫폼들은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혁신을 억누르고 있습니다. 지금은 네트워크를 소유한 기업이 누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지, 수익을 어떻에 분배하는지, 어떤 기능이 지원되는지, 유저 데이터는 어떻게 확보하는지 등 중요한 질문에 대한 일방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스타트업, 크리에이터를 포함한 제 3자가 네트워크 안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게 합니다.

탈중앙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네트워크를 공공재로 만드는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중앙기관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Crypto는 중앙기관의 역할을 다양한 주체들에게 분산시키고 이들에게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중앙기관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는 중앙화된 네트워크의 취약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 6월 소프트웨어 버그로 수많은 사람들이 뉴욕타임즈, 가디언, 트위키, 레딧, 영국 정부 홈페이지를 포함한 상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탈중앙화된 시스템은 하나의 노드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시스템 전체가 장애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는 중앙기관의 일방적인 통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플랫폼 기업이나 정부 등 네트워크를 소유한 중앙기관에 의해 모든 정보가 통제되어왔습니다. 그러나 Web 3.0 에서는 누구도 네트워크를 독점할 수 없으며, 독자적으로 네트워크를 통제할 수 없습니다.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DAOs)

D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DAO)는 중앙화된 리더십 대신 구성원들의 합의로 운영되는 커뮤니티입니다. DAO는 문자 그대로 1) 커뮤니티의 규칙을 개인 또는 중앙기관이 변경할 수 없고, 2) 사람의 개입없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작성된 로직에 따라 결정 및 집행되고, 3)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조정한다는 독립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DAO라는 개념이 생소하고 복잡하게 들릴 수 있지만, 협동조합처럼 이미 비슷한 유형의 조직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Publix grocery store나 Green Bay Packers와 같은 임직원 소유의 기업들은 중앙집권적 리더십이 없이 공공이 소유하고 있는 조직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죠.

DAO는 하나의 On-chain governance입니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블록체인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결정되고 실행되는 거버넌스를 의미하죠. 예를 들어, 전통적인 기업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들은 이사회 선출 방식과 같은 특정 정책을 지시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DAO는 이러한 정책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인코딩된 프로토콜로 만들고 이 개념을 디지털 세계로 확장하는 것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법적 계약과 마찬가지로 스마트 컨트랙트도 계약이지만, 기존과의 차이점은 자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실행되는 컴퓨터 코드로 작성된다는 것이죠.

기업을 포함한 수많은 기존 조직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조직 내 의사결정이 투명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이해관계자들이 거버넌스에 참여하는데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DAO는 투명성과 포용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종류의 조직을 위해 만들어진 가버넌스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비영리 단체, 협동조합, 투자 펀드 등 다양한 유형의 조직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Decentralized Finance (DeFi)

DeFi(Decentralized Finance)는 저축, 대출 및 교환과 같은 금융거래를 위한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합니다. 암호화폐는 즉각적이고, 낮은 수수료로, 국경 없이, Peer-to-Peer 방식으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암호화폐의 핵심은 진입 장벽이 낮다는 것이며, 이는 전 세계의 소외된 지역을 돕는 중요한 역할울 할 수 있습니다. 결제 블록체인은 전 세계 20억 명 이상의 비은행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고, 모바일 지갑은 이주 노동자들이 다른 나라에 있는 가족들에게 돈을 보내는 것을 더 쉽고, 저렴하게 만듭니다. 또한 초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국가에서는 암호화폐가 더 안전한 가치저장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온라인으로 돈을 보내는 것이 이메일을 보내는 것만큼 쉽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이것은 소수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현재까지도 하위 20%의 미국인들에게 있어 기존의 은행 시스템은 느리고, 비싸고, 제한적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시스템은 현재의 결제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은행계좌를 가질 수 없는 이들에게 구호금을 보낼 때 암호화폐를 사용하면 블록체인 시스템의 투명성을 활용해 낭비, 사기, 남용 등을 방지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호금을 분배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블록체인 결제 시스템은 Peer-to-Peer의 디지털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Bitcoin 이전에 디지털 결제는 은행과 신용카드 회사와 같은 중앙화된 제 3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해야했습니다. Paypal이나 Venmo같은 서비스를 통해 돈을 보낼 때도 실제로 보내는 것은 은행에게 의존해왔습니다. 암호화폐는 가치척도, 가치저장, 교환매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실제 화폐와 같으며, 제3자의 중앙기관 없이 디지털 방식으로 실제 가치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

Paypal이나 Venmo가소비자 금융의 Front-end를 혁신했다면, DeFi는 사용, 접근, 감사, 업그레이드 및 구축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금융의 Back-end를 혁신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쉽고 저렴하게 금융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면, 더 포용적인 금융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The Creator Economy

Creator Economy는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팬들과 직접 연결되고, 중개인 없이 협업을 이룸으로써 자체적인 수입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티를 말합니다. Creator Economy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NFT인데요, NFT(Non-Fungible Token)은 대체불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그 고유함에서 가치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NFT는 독특한 디지털 예술 작품, Mickey Mantle 야구 카드, 또는 North Carolina의 부동산을 의미할 수 있죠. NFT 역시 다른 토큰과 같은 방식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대체가능성은 제품의 단위가 구별될 수 없고, 상호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달러 지폐는 다른 1달러 지폐와 교환될 수 있죠. 반면, 대체 불가능성은 예술품, 수집품, 부동산과 같은 독특한 유형의 자산으로 서로 교환할 수 없습니다.

온라인과 디지털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는 디지털 버전의 물리적 자산을 소유하는 것이 점점 더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미 사진이나 책, 음악, 영화들이 하드 드라이브나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NFT 역시 물리적인 제품과 마찬가지로 양도하거나, 판매하거나, 담보물로 삼거나, 대여하거나, 또는 그냥 전시해놓을 수 있습니다. NFT의 초기 사용 사례로는 디지털 아트, 게임, 스포츠 기념품, 수집품 등이 있습니다.

NFT는 기존의 게이트키퍼를 무시하고, 팬과 크리에이터가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팬은 크리에이터를 후원함으로써 크리에이터와 창작물에 대한 지분과 소유권을 가질 수 있으며, 크리에이터는 팬들의 후원과 홍보를 통해 더 나은 창작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NFT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안에서 작품의 판매 경로를 지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창작물의 2차 판매가 이루어질 때 크리에이터들이 수수료를 벌어들일 수 있도록 합니다.

이외에도 NFT는 대체불가능하다는 NFT 본연의 특성을 통해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다양합니다.

Blockchain-based Games

블록체인 기반 게임은 블록체인 기술 위에 만들어진 게임입니다. 블록체인 게임과 Fortnite, Roblox, Minecraft와의 중요한 차이점은 플레이어가 획득한 아이템을 실제로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이를 통해 게임을 통한 진짜 경제활동이 가능해집니다.

블록체인 게임은 크리에이터들이 탈중앙화 기술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도구, 스킨, 아바타, 경험치 등 블록체인 게임 속 아이템은 실제 화폐로 바꾸거나, 2차 시장에서 거래하거나 게임간 이전할 수 있는, 즉 플레이어가 소유할 수 있는 NFT가 되는 것이죠.

블록체인 게임은 ‘Play to earn’ 모델의 개발을 가속합니다. P2E는 게임을 하는 것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대표적으로 Axie Infinity와 같은 게임이 있습니다. 팬데믹 셧다운으로 필리핀의 수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Axie Infinity와 같은 P2E 게임을 시작했죠.

지금의 메타버스가 공상과학 소설가들이 묘사한 무한한 디지털 세계와는 차이가 있지만, 팬데믹은 사람들이 가상 세계에 몰입하는 경험을 친숙하게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가상 아바타가 참석하는 파티나 미팅, 가상 컨벤션 홀에서 열리는 컨퍼런스는 메타버스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힌트가 될 수 있죠. Fortnite에 익숙한 플레이어들은 앱에서 아바타를 구매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으며, Fortnite에서 통해 열린 Travis Scott의 콘서트는 1,200만명의 플레이어가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게임과 플랫폼이 여전히 개발자들에 의해 탑다운으로 제어되는 중앙화된 플랫폼이지만, 국경이 없고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의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합니다.

Privacy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는 블록체인이 본질적으로 투명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정보 자체를 제공하지 않고도 특정 정보가 사실임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는데요, 예를 들어, 유저가 공격에 취약한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아도 자신이 비밀번호를 안다는 것을 웹사이트에 증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런 솔루션은 프라이버시 이슈와 확장성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버시 보호는 유저의 퍼스널 데이터를 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근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특히 Web 2.0 시대에 급증한 수많은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를 생각해봤을 때, 프라이버시 보호는 앞으로 기술 혁신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프라이버시 보호는 규제를 더 철저하게 준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유저가 서비스 제공자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꺼려왔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정보들이 유저 모든 거래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프라이버시 레이어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자신의 정보가 완전히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특정 정보를 제 3자나 규제기관에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프라이버시 위험 없이 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번역소감

서문에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a16z는 Crypto에 강한 확신을 가지고 공격적인 투자를 계속해왔습니다. a16z의 공격적인 투자가 진짜 Crypto에 비전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아니면 Marc Andreessen의 Netscape가 MS의 이 브라우저 끼워팔기로 브라우저 시장의 리드를 빼앗겨서 생긴 Big Tech에 대한 반감 때문인지 잘 모르겠지만, 확실한 것은 이런 시기에 과감한 투자를 계속할수록 이후에 시장이 회복되었을 때 a16z의 자리는 더욱 견고해질 것 같습니다.

또 이와는 별개로 a16z는 운용하고 있는 자금측면에서나 임직원 수 측면에서나 일반 VC의 10배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시각에서 보면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사이즈를 키워나가는 것이 탈중앙화라는 이념과는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것 같기는하네요. 개인적으로도 이런 담론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Crypto people이 아닌 사람들의 공격은 피하기 어려워보입니다.

Subscribe to Resister-boy
Receive the latest updates directly to your inbox.
Verification
This entry has been permanently stored onchain and signed by its creator.
More from Resister-boy

Skeleton

Skeleton

Skeleton